전국 모범음식점 지도 정보
지방행정인허가 데이터개방 '지방행정인허가 데이터개방', 카카오 '로그인, 지도, 블로그, 검색(이미지)', 네이버 '블로그, 검색(이미지)', Google 로그인 이용하여 개발되었습니다
버전 : 12 / 2024-12-05 12:40:32
거처 땅끝마을로 가는 여정이다. 말로만 듣던 녹차밭을 꼭 가고 싶어 보성에 들렀다가 삼합이 유명한 장흥에서 점심을 먹고 가기로 한다. 하동 호텔봄봄 가성비 좋은 신축 호텔 호텔봄봄 경상남도 하동군 고전면 재첩길 50 섬진강에 재첩이 많이 잡혀서인지 도로명 마저 재첩길인 이곳에 위치한 호텔봄봄, 주변의...
REVIEW AROUND THE WORLD(2025-10-16 18:57:00)
고즈넉한 기와집이 아주 잘 어울려 보기에 좋았습니다. 잘 가꾸어진 정원과 꽃들이 아름다웠습니다. 1587년~1671년 고산의 자는 약이, 호는 고산 또는 해옹...입장료는 무료입니다. 입구에 목 백일홍이 우리를 반겨 주었습니다. 땅끝 순례 문화관 가는 길입니다. 녹우당을 지나 산책하는 길이 있습니다. 저는...
심심타파 글쓰기(2025-07-25 16:00:00)
시대 후기 실학을 집대성한 대학자 정약용 선생이 유배생활을 했던 곳이다. 다산(茶山)이라는 호는 강진 귤동 뒷산 이름으로 이 기슭에 머물고 계시면서 자신의...강진읍 동문 밖 주막과 고성사의 보은산방, 제자 이학래 집 등에서 8년을 보냈다. 이후 해남윤씨 집안의 호의로 1808년 봄에 다산초당으로 거처를 옮겨...
걸림이 없는 삶님의 블로그(2025-10-03 15:28:00)
해남땅끝블루오션펜션” 전라남도 해남군 송지면 중리길 45-15, 블루오션펜션 앞에 이쁜 꽃들이 반겨줬어요🌸🤩 내부도 간단하게 전체적으로 찍어봤어요 해남에 숙소가 생각보다 그렇게 많지 않아서 고르기 좀 힘들었는데 후기가 좋고 뷰도 좋아서 이 펜션을 택했는데 잘한 선택 이였답니당🤍🤍 숙소에서 찍은 노을 뷰에요...
희의 생활(2025-05-20 14:57:00)
졌다. 땅끝전망대에서 봤을 때는 하늘이 청명했는데 어느 순간부터 구름이 끼기 시작했다. 멋져서 오히려 좋아. 그리고 도솔암을 가기 위해 달마산을 올라가는 길. 길이 s자로 꼬부랑 꼬부랑해서 험난하다. 멀미가 나지 않게 조심할 것! 📌 도솔암 도솔암 전라남도 해남군 송지면 마봉리 산87-1 주소: 전라남도 해남...
굴러들어온 짱돌의 여가생활(2025-01-14 15:50:00)
기와집 시골풍경은 언제 봐도 정겹죠. 고택의 정원은 자연 그대로의 멋이 살아 있었고, 돌담과 나무의 어울림이 너무나도 인상 깊었어요. 안채로 들어서면 전통...교차하는 기와지붕의 모습이 진짜 멋지더라고요. 실내 전시공간에는 조선 후기 화가 허련 선생이 화실에서 그렸던 작품들이 전시중이었어요. 허련의 그림...
달콤한 여행로그(2025-06-12 15:45:00)
뜨고 후기도 좋아보여 들렀다. 건물자체에는 간판이 없다. 가게 앞으로 쭉 주차 할수 있지만 주차선은 따로 없는 이미 식사하고 계신분들이 많았다. 외지인...아래 주차장엔 화장실도 있다.( 사진찍은곳) 주차했는데 보인 수박개구리??? 수박 같아서 ㅋㅋㅋ 무슨 개구리지..? 땅끝마을 아름다운 절 미황사! 달마...
햄찌 세상(2024-09-18 13:26:00)
인해 기와집으로 재변경된 곳이랍니다. 외에도 이곳을 방문하신다면 선생이 직접 '丁石(정석)' 글자를 새겨둔 바위, 차를 끓이던 약수인 약천, 차를 끓였던 반석인 다조, 천일각 정자 등을 둘러 보실 수 있습니다. 영랑생가 사진, 강진문화원 남성리에 있는 대한제국기에 설립된 시인 김영랑 선생의 생가로 2007...
여행은 사진이다.(2025-07-08 11:48:30)
향하는 땅끝에 접한다. 현재의 신지도에도 그렇게 표기되고 있다. 금병산(錦屛山)은 조선 후기 영조 때의 실학자이자 지리학자인 신경준(申景濬)의 산경표(山經表)에서 낙남정간(洛南正幹)의 동쪽 종착지가 된다. 낙남정간은 백두대간의 남쪽 종착지인 지리산(智異山, 1,915m)의 영신봉(靈神峯, 1,652m)에서 발원 분지...
민초나라(2025-08-02 22:23:00)
지붕 집으로 지붕 처마의 선이 마치 하늘로 훨훨 날라갈 듯 아주 시원스럽다. 대웅전에서 나온 상량문을 통해 1751년에 중건되었음이 밝혀졌으며, 2001년 보수...경지를 보일 정도로 우수하며, 기둥 윗 부분에 장식이 조각되어 있는 등 조선 후기 건축 양식을 잘 드러내고 있다. 또한 경내에서 가 장 하늘과 가까운 곳...
도봉산고양이의 여행공간(2024-12-16 02:00:48)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
첨부파일